음악이론 (41) 썸네일형 리스트형 sus4(서스포) 정확한 표기 확실하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오늘은 생각보다 많은 분들께서 DM이나 댓글을 통해 질문주시는 sus4의 정확한 표기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이 콘텐츠는 도서 에서 발췌되었습니다. 무단 사용을 금지합니다. 우선 서스포(sus4)에 대하여 간단하에 정리해보겠습니다. 01_sus4는 3화음의 3음을 대신해서 4음을 넣는 화음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sus4의 sus는 suspended의 약자에요. 즉 '달려있는, 걸려있는' 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3음 대신에 4음이 걸려있는 코드가 바로 sus4죠. 여기서 주의해서 볼 부분은 3음 대신 들어가는 4음은 '3음과 단2도(반음)차이가 나는 4음'이라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F는 파-라-도 / Fsus4는 파-시♭-도 가 되.. 3화음의 종류 (화음이 4가지로 나뉘는 이유)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오늘은 3화음의 종류가 왜 4가지인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제를 보시고 '이유를 꼭 알아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하실 수도 있는데ㅎㅎ 3화음의 종류가 4가지가 되는 이유를 알면 3화음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음악이론 공부에서 무작정 외우는 것보다(물론 반드시 외워야 편한 것도 있습니다) 원리를 이해하면 더욱 쉽게 다가오는 것들이 있는데, 바로 오늘의 주제가 그런 주제입니다. 바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 1) 3화음은 장3도 or 단3도를 2번 쌓은 화음입니다. 코드는 온음계 위에서 만들어집니다. 온음계 위에서 3도 음정을 생각해 보면, 장3도, 단3도 2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3화음 안에는 근음-3음 / 3음-5음, 2종류의 .. 장조의 조이름 보고 조표 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오늘은 장조의 조이름을 알 때, 조표를 구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차근차근 따라와 보시길 바랄게요. *이 콘텐츠는 도서 을 발췌하여 만들었습니다. 무단 사용을 금지합니다. 음악 공부에 있어서 마치 세트처럼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조성의 조표, 장조, 단조인데요. 한마디로 조표만 보고 조이름(장조, 단조)을 구할 수 있어야 하고, 장소를 보고 조표와 단조를, 단조를 보고 장도와 조표를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중 오늘은 장소의 조이름을 알 때, 조표를 어떻게 구하는지 정리해 볼게요. 첫 번째, # 조와 ♭조를 구별해야 합니다. 조표는 #조와 ♭조가 있습니다. 조이름을 보고 조표를 구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구하.. 하프 디미니시드 코드 정리 (half-diminished 7th chord)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오늘은 하프 디미니시드 코드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7th 코드를 배울 때 가장 헷갈려하는 부분이기도 하죠? 천천히 잘 따라오신다면 분명 확실하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 거예요! 01_디미니시드 코드는 근음에서 단3도 위의 3음, 감5도 위의 5음으로 이루어진 코드 대표적인 3화음은 메이저, 마이너, 어그먼티드, 디미니시드 4가지가 있습니다. (일산오빠 1권 unit10 참조) 그중에서 디미니시드 코드는 근음에서 단3도 위의 3음과, 감5도 위의 5음으로 이루어진 코드죠. 이때, 감음정을 영어로 diminished 라고 부르기 때문에 디미니시드 코드라고 부릅니다. 02_ 디미니시드 코드에 단7도가 붙은 7화음이 half-diminished 7th.. 이명동음 정의, 특징, 이명동음조 정리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여러분은 계절이 변할 때 여름이 간다, 가을이 온다 중 어떤 표현을 더 자주 쓰시나요? 저는 생각해 보면 '간다'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는 것 같네요ㅎㅎ 이처럼 같은 현상을 보고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물이 반밖에 없네? 물이 반이나 남았네? 도 마찬가지죠.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바로 음악에서도 이처럼 같은 소리를 내지만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명동음 혹은 딴이름한소리라고 부르는 것인데요. 오늘은 이명동음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이명동음이란? 같은 소리를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이명동음의 뜻을 풀어보면 '이름은 다르지만 동일한 음'이라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볼게요. C# 과 D♭이 내는 소리는 .. 기초 화성학_가락단음계 그릴 때 주의할 점(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오늘은 음계 중 가락 단음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일산오빠 책으로 화성학을 독학하는 분들께서 여러 채널에 댓글로 달아주신 내용이 있는데요. 가락 단음계를 그리는게 어렵다, 잘 안된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이때, 조금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거꾸로' 원리를 이해해 보는 것인데요. 천천히 따라와 보시길 바랄게요. *이 콘텐츠는 도서 에서 발췌되었습니다. 무단 사용을 금지합니다. 아래 G# 가락단음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스케일의 조표를 그립니다. 단조의 조표는 나란한 조인 장조의 조표를 구해서 표시합니다. 즉, 단조의 으뜸음에서 단3도를 올린 장조의 조표를 그리는 것이죠. G#에서 단3도를 올리면? B가 되겠죠. B장조의 조표는 #이 5개 붙습.. [1분 화성학 상식] 모드 이름에 ian이 붙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오늘은 짧지만 많은 분들이 '아~ 그렇구나!' 하고 궁금해 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모드'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음악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겠다! 마음먹고 공부하다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황하는 파트가 있는데, 맞습니다. 바로 '모드'에요ㅎㅎ 왜냐? 중고등학교에서는 한 번도 듣지도 배우지도 못했던 내용이 등장하기 때문이죠. 실제로 모드는 조성음악의 틀을 벗어난 개념이라 일반인(?)들은 모르고 살아도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면 정말 재미있는 내용이 많고, 어렵지 않기도 하니 당황하지 말고 차근차근 공부해 보시길 바랄게요! 오늘은 제목처럼 '모드 이름에는 왜 ~ian이 붙을까?' 에 대한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분 상식 코너 같은 느.. 다이아토닉 코드 로마 숫자 표기 정리 안녕하세요. 1458music입니다. 오늘은 코드의 로마 숫자 표기 방법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로마숫자 쓰는 방법 로마숫자는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여기서 자주 헷갈리는 표시는 4,5,6(Ⅳ, Ⅴ, Ⅵ)인데요. 이것만 기억하면 헷갈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로마자는 기본적으로 왼쪽으로 합쳐지면 빼는 거고 오른쪽으로 합쳐지면 더하는 것입니다. 5가 Ⅴ이기 때문에 왼쪽으로 Ⅰ이 붙은 것은 1을 빼는 거니까 4!! 오른쪽으로 Ⅰ가 붙은 것은 1을 더하는거니까 5!!입니다. 자, 그럼 여기서 깜짝 퀴즈~ 로마숫자로 50은 L입니다. 그렇다면 40은 어떻게 표기할까요? 1) XL 2) LX 정답은? 10이 적은 숫자이니 XL이 맞겠죠.. 이전 1 2 3 4 5 6 다음